study /음악심리

제8장,정서적 행동과 음악

소라껍데기 2012. 10. 16. 18:00

요약

1.Affect는 인간이 느끼는 다양한 반응들을 포괄하여 언급할 때 쓰는 포괄적인 용어이다.

2.Emotion은 일상적인 평정한 상태로부터의 상대적으로 일시적인 동요를 언급하는 affect의 특별한 유형이다.

3.심미적 느낌이라는 것은 예술 작품, 자연현상, 또는 아름다움, 예술적 가치 또는 의미가 느껴질 수 있는 대상물이나 사건들에 대한 특정 유형의 경험으로부터 결과되어지는 것이다.

4.심미적 경험은 단순히 "참 예쁘다"하고 느끼는 것 이상의 것을 의미한다. 이 경험은 예술 작품에 내재한 특성들을 지각하고 느끼고 작품 속에 내재된 의미나 진정한 아름다움을 인식하므로써 느껴지는 경험이다.

5.심미적 경험 이외에 음악적 자극에 대한 정서적 반응들의 또 다른 유형들에는 기분 반응, 연합 반응, 특성반응, 내재된 주관 반응, 노래 가사가 지니고 있는 의미에 대한 반응, 선호도, 관심사, 태도관, 가치관, 감상 등이 있다.

6.음악에 대한 반응을 연구하는 데는 기본적으로 4가지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①정신생리학적 연구

 ②형용사적 서술자 연구

 ③철학적연구

④심리학적 미적 연구

7.정서적 반응이 야기될 때 자율신경체제에 의한 생리적 반응들도 동시에 일어난다.

8.심박수, 호흡수, 전자극 피부 반응 등 음악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들은 거의 1세기 동안 연구되어져 왔지만 이러한 연구들이 음악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밝혀줄 만한 특별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9. 형용사적 서술자를 사용한 초기의 연구들은 음악에 대해 반응하는 인간의 여러가지 기분 등의 평가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의미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자료에 대한 영역적 분석 기술을 사용하는 최근의 연구들은 "정서적 행동들을 이해하기 위한 도구로서 형용사적 서술자에 갱신된 관심을 강하게 보이고 있다.

10. 사변적 미학에는 2가지 기본 유형이 있다. 철학적 미학은 예술현상과 의미 가치 외도에 관해 일반적 진술의 작성을 추구하는 것이고 예술이론은 음악내에서 음악역사, 문헌, 분석과 같은 과목들에 병합되어젹서 개개의 작품들, 스타일, 작곡자에 대한 연구와 관련되어진다.

11.철학적 견지에서의 미적 이론은 절대주의, 즉 음악의 가치와 의미는 음악자체가 지닌 소리로부터 결과된다는 입장과 관련주의, 즉 음악은 소리 자체가 지닌 것 이상의 다른 의미를 반영한다는 입장 등이 있는데 관련주의자들의 견해는 비음악적 아이디어, 감정, 이야기, 심지어 영적 상태들에 대한 것이 포함된다.

12. 심리학적 견지에서 미학은 최근에 특히 실험적 미학에 강세를 보이는 데 이것은 경험과학에서 수행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데 미적 자극이 유발하는 여러가지 대조, 비교되는 트것ㅇ들에 초점을 맞추어서 동기에 관련된 질문을 검토하고 언어적 행동 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행동도 연구하고 미학적 현상과 다른 심리학적 현상 사이에 연결을 시도한다.

13.심리학적 미학의 연구들은 음악적 선호도에 있어, 최적성, 복잡성에 관하여 주로 초점을 두어왔는데 이러한 연구를 통해 음악적 자극에 대한 "애호","기쁨"."선호도"는 음악의 복잡성에 비례해서 거꾸로 된 U모영 곡선을 보이다는 가설이 성립된다.

14. 움악적 자극에 대한 비교변인들은(복잡성,참신성/익숙함,불확정성/잉여성) 상대적인 것이다.

15.Leonard B.Meyer의 음악적 의미에 관한 이론과 정보 이론은 서로 유사한 점이 있는데 음악적 의미이론은 의미를 예상감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고 정보이론은 음악적 불확적성에서 결과되는 정서를 검토하기 위한 가능성 있는 모델을 제공한다.

16.음악적 의미를 형성하는 변인들은 크게 두 가지 부류로 볼 수 있다.

①음악적 자극의 구조적 특색에 관련된 것

②감상자 특히 경험적 변인에 관련되어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