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1.창작과 연주는 모든 여타의 음악적 행위들을 이끌어낼 수 있는 근본적인 자극을 제공해준다.
2.음악연주는 인간의 정신이 육체의 근육들을 이끄는 정신운동적인 행위이다.
3.연습테크닉들은 연주자, 연주매체, 음악적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4.정신 리허설이라는 것은 실제적으로 신체의 연습과 함께 병행되어질 때 효과적이다.
5.연주자들이 초보자들과 다른 점은 일어날 수 있는 실수에 대비해서 모든 의미있는 음악적 부분들을 연관지어 완전하게 연습한다는 것이다.
6.연습이라는 것은 단순히 작품을 반복해서 연습하는 것만이 아니라 뚜렷한 음악적 목표를 가지고 면밀한 계획하에 수행하는 것이어야 한다.
7.전문연주인은 단순히 연주를 잘 한다거나 노래르 잘 부른다는 것 이상의 것을 의미한다.
8.뛰어난 연주자들은 음악을 형성하고 있는 의미있는 음악적 그루핑에 기반을 두고 전체를 추상화할 수 있다.
9.연주를 할 때는 일련의 인지적 구조들의 기능함에 따라 이루어지게 되는 데 이들 구조들은 암기, 독보, 즉흥연주 등에 따라 다르게 기능한다.
10.음악적 표현은 음악적 구조로부터 올 수 있고 또는 표현에 의해 음악적 구조가 형성되어질 수 있다.
11.연주자의 연습패턴들은 그들이 가진 구조적 개념들을 제시할 수 있다.
12.연주불안은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는데 여러가지 요인들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13.면밀한 준비, 예견, 목표설정은 연주공포를 통제하느데 도움을 줄 수 있다.
14.연주자들은 그들의 전 삶과 관련한 과정에서 어떠한 연주이든지 올바르게 중요성을 인식하여야 한다.
15.즉흥연주는 새로 창작된 음악을 준비없이 즉석에서 연주하는 것을 말한다.
16,서구예술음악에 있어 즉흥연주는 바로크 시대에 절정을 이루었다.
17.오늘날 대다수의 사람들은 즉흥연주를 재즈와 연관시킨다.
18.즉흥연주는 대단히 복잡하고 즉각적인 일련의 신경과정들이 기능한다./
19.숙련된 즉흥연주자는 즉흥연주 과정 동안에 작용하는 신경통로들의 명령시스템에 중요한 자극을 줄 수 있는 연결체계를 방대하게 만들어놓는다.
20.이러한 정신적인 연결체계와 함께 고안해 놓은 것이 즉흥연주시 잘 실행되도록 실체표현의 패턴들도 동시에 개발시켜 나간다.
21.Pressing은 즉흥연주의 어떠한 모델이라도 사람들이 어떻게 즉흥연주를 하고 그들이 어떻게 이러한 기 술을 개발시킬 수 있는가. 이러한 행위의 기원은 어디로 오는 것인가에 대하여 주장하고 있다.
22.대부분의 재즈 즉흥연주의 정수는 선율선이 가지는 묘미에 있다.
23.연구에 의하면 즉흥연주도 특정한 기준에 의하여 신뢰도 있는 평가를 할 수 있다고 나타났다.
24.즉흥연주와 작곡은 엄연히 다르다. 즉흥연주자는 즉각적으로 유연하게 연주를 수행하고 즉시 생각난느 것을 표현해야 하는 반면 작곡자는 그가 의도된 목적에 가장 적합한 해결책이 나올 때까지 그 이전의 것 모두를 배제할 수 있는 자유가 있다는 것이다.
25.작곡가들의 작곡과정을 연구하는 데는 4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① 초본을 연구하는 것, ②작곡가가 자신의 작품에 대해서 언급한 것을 검토하는 것 ③작곡하는 과정을 실제로 관찰하는 것 ④즉흥연주의 관찰
26.작품의 원본 설명을 연구하는 것은 곡의 전체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계이다.
27.작곡을 하는데느 2가지 포괄적인 단계가 있다: 영감과 영감의 실행
29. 이론가들의 주장에 의하면 작곡자들은 작곡적 어법과 감상자를 고려한 감상어법을 다같이 사용해야 한다고 한다.
30.Lerdahl에 의하면, 가장 훌륭한 음악은 반드시 감상자의 인지적 능력을 충분히 고려한 것이라는 것이다.
31. 작곡과정과 기술에 대한 작곡자의 설명에 관한 연구를 해보면 작곡은 여러가지 다른 관점으로부터 접근되어 질 수 있다는 것이다.
32. 작곡이론, 음악과 AI안에서의 작업의 결과물은 작고과정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전망있는 방향을 제시해준다.
'study > 음악심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장 음향심리의 기본 (0) | 2014.01.03 |
---|---|
제8장,정서적 행동과 음악 (0) | 2012.10.16 |
제3장 현대생활에서의 음악의 기능적 사용 (0) | 2012.09.11 |
제2장, 음악, 사람과 사회 그리고 문화적 현상 (0) | 2012.09.03 |